HYNGNG | 알곡사료

내 PC에 ADB(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 설치하기 본문

기계/기기 설정

내 PC에 ADB(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 설치하기

hyngng 2022. 5. 27. 22:39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이 툴은 이름이 꽤 직관적이다.

그게 나 같은 학생이 접하게 되는 첫인상이었다.

 

안드로이드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두 시스템을 잇는 다리라서

Android Debug Bridge.

 

 

 

이 ADB는

Android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명령어 모음 도구이다.

 

이 도구를 컴퓨터에 마련한다면

ADB라는 그 이름을 따라

안드로이드 기계 안의 파일을 관리하거나

로그 기록을 출력하면서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디버그 작업을 할 수도 있겠으나

보다 가벼운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아예 기계 제조사 차원에서 권장하지 않고

심하면 수리 거부와 같은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루팅과는 달리

ADB는 굳이 권장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딱히 통제하지는 않을 그런

적절한 선이기 때문이다.

 

ADB 내에 마련된 특정한 명령어을 잘 이용하면

이런 느낌의 소프트웨어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는데,

개발자라면 실제로 더 심층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이곳에서는 그렇게 심층적인 것을 다루지 않는다. 

 

 

 

 

설치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releases/platform-tools?hl=ko 

 

SDK 플랫폼 도구 출시 노트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DK 플랫폼 도구는 Android SDK의 구성요소입니다.

developer.android.com

각자 OS에 따라 Windows / Mac / Linux 버전을 골라 다운로드 하면 된다.

 

그런데 나는 윈도우를 사용하므로,

윈도우 버전을 다운로드 했고

앞으로의 설명도 윈도우로 이어나간다.

 

 

ADB 다운로드 페이지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platform-tools라는 이름의 압축파일을 얻게 된다.

 

바로 압축을 풀면 되는데,

압축이 풀린 파일의 데이터 위치를 우리가 바로 뒤에서 이어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배경화면에 바로 풀어 화면을 더럽히지 말고

어딘가 먼지가 쌓여 있는 깊숙한 곳에 잘 모셔서 소중히 압축을 풀도록 하자.

 

 

 

파일을 신중히 잘 모셔놓았다면

고급 시스템 설정에 들어가자.

 

사실 앞의 단계에서도 ADB 자체는 사용할 수 있고

고급 시스템 설정창의 작업이 무조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해두지 않으면

ADB를 사용할 때마다 CMD 창에서 일일히

adb.exe의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해 실행해야 한다는

큰 불편함이 생기므로

아래의 과정도 따라해두는 것을 권장한다.

 

마치고 나면 CMD 창에서

바로 ADB를 불러서 써줄 수 있는데

이쪽이 매우 편하기 때문이다.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는 방법은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의 경로로도 들어갈 수 있지만

그냥 윈도우 검색창에 "고급 시스템 설정 보기"를 정직하게 쳐도 들어갈 수 있다.

 

 

 

들어가면,

고급 시스템 설정

창이 하나가 뜨고

뭐가 써져있나 읽어보며 시선을 내리다 보면

환경변수(N)... 가 보인다.

 

환경변수 설정에서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당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당신이 원할 때

운영체제가 바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인데,

 

지금이 그 때다.

환경변수을 클릭해 들어가 준다.

 

화면 중앙에 보이는 시스템 변수(S) 밑

새로 만들기(W)...로 들어가 준다.

 

이곳에 운영체제가 참조할 주소를 입력해 주게 되는 것이다.

 

변수 이름은 당신 마음대로 작명해주되,

변수 값은 아까 압축을 풀었던 platform-tools의 주소를 입력해준다.

주소는 <C:\Users\이름\Desktop\파일/또다른파일...> 의 느낌일 것이다.

 

다 입력했다면

확인을 눌러주고 나와주자.

 

그럼 환경 변수 창의 <시스템 변수(S)> 란에 다른 변수와 함께

새로 변수가 새로 추가된 것이 보일텐데,

ComSpec,

DriverData,

NUMBER_OF_PROC..,

다른 변수를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신기하게 읽어주면서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Path라는 이름의 변수가 있다.

 

이 변수는 이름이 한국어로 번역이 안 되어 있을 뿐이지

말 그대로 파일들의 "경로"들을 모아놓은 곳이다.

어느 위치에서든 Path 안에 등록된 경로는

쉽게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새로 만들기(N)>을 눌러주고,

아까 마음대로 지어줬던 변수 이름을

%변수이름%₩

의 양식에 맞추어 그대로 적어준다.

추가가 완료되었다면 확인을 눌러주고

한 번 더 확인을 눌러

고급 시스템 설정 창에서 나와준다.

 

 

 

그럼 설치가 끝난다.

문제가 없다면 당신의 컴퓨터는

CMD창에서 바로 ADB 관련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제대로 설치가 됐는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CMD창 하나를 켜주자.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검색하면 나오는

"명령 프롬프트"를 열 수도 있고

Win + R키를 누르면 나오는 실행창에

"cmd"를 입력해 열 수도 있다.

 

CMD창에

adb 세 글자를 쳐주고

엔터를 누른다.

 

무언가 갑자기 많은 걸 알려주고 있다면

잘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설치가 잘못되었다면

<'adb'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는 안내 문구가 대신 나오게 된다.

728x90
반응형

'기계 > 기기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B로 어플 비활성화 하기  (0)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