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NGNG | 알곡사료

ADB로 어플 비활성화 하기 본문

기계/기기 설정

ADB로 어플 비활성화 하기

hyngng 2022. 6. 3. 14:44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사전 준비

ADB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아예 ADB가 뭔지 모르는 경우

아래의 글을 먼저 참조하는 것이 좋다.

 

https://consider.tistory.com/11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ADB) 설치하기

이 툴은 이름이 꽤나 직관적이다. 그게 나 같은 학생이 접하게 되는 첫인상이었다. 안드로이드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다리라서 Android Debug Bridge, 통칭 ADB.. 이 ADB는 Android 운영체제로 동작하는 기

consider.tistory.com

 

USB 디버깅 권한을 허용해주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개발자모드를 추가로 활성화해줘야 한다.

공식적인 방법은 아래의 링크에 자세히 안내되어 있으며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debug/dev-options?hl=ko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 빌드 번호 7번 탭 > 개발자 모드 활성화

 

 

 

 

 

하는 방법

안드로이드 기기와 PC를 USB 케이블로 연결한 뒤

CMD 창에 다음을 입력한다.

 

< adb shell pm hide "pkg_name" >

 

여기서 pkg_name란에는

각각 어플의 패키지명을 입력해주어야 한다.

이때, 패키지명이란 각각 어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이름인데 주로

com.google.android.xxx

com.samsung.android.xxx

com.android.xxx

등등의 형식으로 쓰여져 있으며

각각의 어플을 구별해주는 기능을 한다.

 

어플의 패키지명은

어플이 등록되어있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 페이지 URL에 패키지명이

명기되어 있으니 이를 참조할 수도 있고,

혹은 패키지명을 알아내는 별도의 어플을 설치해 알아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om.android.vending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 어플에 대한 패키지명이며

CMD창에 < adb shell pm hide ”com.android.vending” >을 입력하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기기에서 비활성화되며

기기 내에 어플 데이터는 남아있지만

기기에서 더이상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게 된다.

플레이 스토어에서 더 이상 어플을 다운로드 할 수 없게 되고

플레이 스토어에서 어떤 알람도 오지 않게 된다.

플레이 스토어 자체가 비활성화된다.

 

 

 

응용

기본적으로 깔려있지만 쓰지는 않는

SKT, KT, U+ 통신사 어플을 포함하여

일부를 비활성화해 화면을 정리할 수도 있고

 

 

배경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일부 시스템 어플을 비활성화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의 기본 내장 시스템 어플인

삼성 푸쉬 서비스(com.sec.spp.push)를 비활성화하면

삼성링크, 삼성페이 등의 일부 알람을 받지 못하게 되지만

원치않는 상단 패널 광고도 받지 않을 수 있다.

 

 

갤럭시에 한정하여

GOS(com.samsung.android.game.gos)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재 갤럭시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성능제한 완화 옵션 < 게임 퍼포먼스 관리 >를 활성했을 때 보다

더 쾌적한 성능, 더 높은 발열과 빠른 쓰로틀링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주의할 점

아무 어플이나 비활성화하면 곤란해질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어플을 건드릴 경우 기기의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사전에 그 어플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꼼꼼하게 따져본 뒤

신중하게 선택해서 비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단, 문제가 생겼을 경우 다시 어플을 활성화하는 방법도 있는데

명령어의 hide를 unhide로 바꾸어

< adb shell pm unhide "pkg_name" >의 형식으로 다시 입력하면 원상복구시킬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