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OnCollisionEnter
- Hierachy
- 비교언어학
- Ah-1z
- HTML 설명
- Unity
- 유니티 공부
- 유니티 Collision
- 삼성 #갤럭시 #S22 #울트라 #S22U #S22 울트라 #갤럭시 S22 울트라 #스마트폰 #
- 유니티 충돌
- hyngng
- 유니티 헬기
- HTML
- 플레이어 이동
- 유니티
- c#
- 포합어
- 유니티 오브젝트
- 갤럭시
- ADB 설치
- C# 스크립트
- 유니티 플레이어
- 유니티 기초
- rigidbody
-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리지
- 유니티 벡터
- 하이어라키
- 헬기 만들기
- 언어유형학
-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릿지
- Today
- Total
HYNGNG | 알곡사료
갤럭시 버즈 프로는 버즈 2에 비해 무엇이 나은가 본문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버즈 2와 버즈 프로의 차이점을
간단히 알아봄과 동시에
나아가 비싼 이어폰이 비싼 이유에 대해
힌트를 살짝 얻어보자.


버즈 2는
윗층의 저음을 위한 6mm 크기의 우퍼(Woofer) 하나와
아랫층의 고음을 위한 6mm 크기의 트위터(Tweeter) 하나가
적층형으로 붙어서 소리를 내는 구조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 두 드라이버가 위아래에서
소리가 나오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데
(여기에서 개인적으로 귀에 소리를 직빵으로 내지 않고도
부피를 줄이기 위해 이렇게 처리할 수도 있구나 하고 놀랐다.)

버즈 플러스와 그 구조가 같다.
그리고 이것은 버즈 2가 버즈 플러스와의 외형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버즈 플러스의 후속작 취급을 받는 이유가 됐다.


그런데 버즈 프로는 구조가 약간 다르다.
드라이버가
우퍼(저음) 11mm,
트위터(고음) 6.5mm로
버즈 2처럼 2개의 드라이버를 사용해
소리를 내는 것은 같으나,
드라이버 크기가 상당히 커졌다.
(무조건은 아니지만, 드라이버의 크기가 클 수록 더 좋은 음질을 만들어내기 유리하다.)
또한 2개의 드라이버가 버즈 2처럼 쌓여있지 않고
소리를 내뱉는 정방향을 향한 채 축을 공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두 개 드라이버의 축이 같다고 동축형(同軸形) 스피커라고 부르며
버즈 2의 적층형에 비해
보다 정통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이다.

사실 이 방식은 삼성 제품으로서는
갤럭시 S8부터 노트 20까지 구성품으로 제공된
AKG 번들 이어폰에 이미 차용된 적이 있는데,
다만 사진의 제품은 유선 제품이므로
설계시 블루투스 유닛과 배터리를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니
크기가 큰 2개 드라이버를 동축으로 과감하게 구성하면서도
편한 착용감을 그대로 괜찮게 만들어낼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하는 무선 이어폰인 버즈 프로의 경우
많이 노력한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음질을 위해서 동축형 구조를 선택함과 동시에
드라이버의 물리적인 크기 또한 꽤나 커졌기 때문에 상당히 뚱뚱하다.

때문에 버즈 2에 비해 귀에 닿는 부분이 버즈 프로는
꽤나 자극적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이것은 버즈 프로가 버즈 2에 비해
착용감에서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는 원인을 제공했다. 만은,
그 정도로 버즈 프로는 버즈 2보다 좋은 하드웨어에
많이 투자한 기계라는 해석도 된다.
(덕분에 버즈 프로의 음질은
기존의 갤럭시 버즈 시리즈에서 '막'을 하나 제거한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즉, 버즈 프로는 버즈 2에 비해
착용감이나 외이도염 발생 가능성을 일부 내주고
그만큼의 음질 집중 설계를 트레이드 인 한 셈이며
이것이 버즈 2와 버즈 프로의 주요 차이점이 되겠다.
'기계 > 기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하는 카메라 브랜드들 (2) | 2022.07.02 |
|---|